감사연습에 대한 편견과 오해 3가지

감사연습에 대한 편견과 오해 느낌과 자각의 순간을 말로 다 표현하는 것은 에고마인드에게 어려운 일입니다. 에고마인드는 생각하느라 분주하며 갈등이 생기면 과부하가 걸리기 쉽습니다. 에고마인드는 외부 정보를 받아들일 때 왜곡, 삭제, 조작한 후 기억정보로 저장합니다. 에고마인드는 정합되지 못한 정체성이나 신념 체계들로 자기모순과 혼란에 빠지기 쉽습니다. 에고마인드는 고집을 부리기도 하지만 사실 너무나 연약하고 허점투성이가 많습니다. 감사연습에 대한 편견과 오해 에고마인드는 심리적 안전지대에서 머물면서 안전한 삶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에고는 자신의 생존에 유리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는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확증편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받아들이는 에고의 편향적 특성 때문에 편견과 오해가 발생합니다. 편향된 견해는 생각과 감정에 오류가 발생시키고 인체에 오작동을 일으킵니다. 감사연습의 목적 감사연습은 자신을 사랑하고 신뢰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감사연습은 나에게만 적용하는 연습이므로 다른 사람들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든지 관계없이 자신의 내 면을 정화하고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기만 하면 됩니다. 나의 내면을 정화하는 것이므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습니다. 감사연습에 다른 사람을 개입시키면 안됩니다. 감사연습을 잘못 이해하고 다음과 같이 오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감사연습을 하면 고상한 인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오해입니다. 감사연습의 목표는 정화입니다. 정화를 하려면 최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남들에게 잘 보이거나, 남들의 눈치를 보게 되면 자신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습니다. 감사연습은 고상한 인격을 형성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순수 하게 나를 표현하고 아무런 문제없이 평온한 삶을 살아가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사기를 당했거나,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을 당해 분노가 치...